본문 바로가기

진로 교육42

감정 때문에 시작할 수 없을 때 – 전념적 행동의 심리학 “이 감정이 가라앉고 나면 시작할게요.”“지금은 상태가 안 좋아서… 나중에요.”“완벽하게 준비되면 해보려구요.”많은 사람들이 이런 말을 합니다. 진짜 완벽하기 위한 전략일까요? 우리는 앞선 이야기들 속에서, 감정에 수용 당하지 않으면서도, 수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정에 따르기 보다, 감정을 없애려 하기 보다 상태로 인식하고, 감정을 경험중인 상태로 바라보는 것입니다. 이렇게 감정을 정보로 처리하고 나면, 자신이 원하는 가치와 행동을 선택하고 집중할 수 있는데, ACT심리학에서는 전념적 행동이라 합니다. 1. 전념적 행동이란 무엇인가?ACT(수용전념치료)에서 말하는 전념적 행동(Committed Action)이란,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기준으로 작고 구체적인 행동을 선택하는 실천.. 2025. 4. 22.
진로검사 추천: 홀랜드 진로 발달 이론으로 내 성격에 맞는 직업 찾기 “진로 고민이 많은 학생과 부모님들에게 가장 실용적인 진로검사, 어떤 게 좋을까요?”진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심리학 기반의 진로이론을 활용하면 흥미와 성격에 맞는 직업을 훨씬 더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어요.오늘은 실제 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홀랜드 진로 발달 이론을 소개할게요.1. 홀랜드 진로 발달 이론이란?인성이론(Personality Theory of Vocational Choice) 이라고 하며 "진로 만족도와 성공은 성격-환경의 일치 정도에 달려 있다"고 보는 일종의 진로와 흥미의 관련성을 연구한 이론이에요. 존 L. 홀랜드(John L. Holland)는 사람마다 특정 성격유형이 있고, 그에 맞는 환경에서 일할 때 가장 높은 만족감과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봤는데, ‘RIASEC 모델’.. 2025. 4. 20.
문의하기 블로그 관련 문의는 아래 이메일로 부탁드립니다. 👉 [문의폼 바로가기] # 협업, 강의 요청, 블로그 콘텐츠 관련 질문, 교육 문제 연구 요청도 환영합니다. 2025. 4. 20.
개인정보 처리 방침 안내 [playcafe.tistory.com]은(는) 제3자 광고 서비스인 Google Adsense를 이용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웹사이트 방문 정보에 따라 맞춤 광고를 제공합니다. - 제3자 광고 서비스 제공자가 쿠키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전 방문 정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Google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더 나은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적화합니다. - 사용자는 Google 광고 설정에서 맞춤 광고를 해제할 수 있으며, 여기 에서 쿠키 사용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본 블로그는 사용자의 정보를 직접 수집하지 않으며, Google Adsense의 광고 제공 과정에서 수집되는 정보는 Google의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릅니다. ※ 이 정책은 2025년 4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관련 .. 2025. 4. 20.
가치를 중심에 두는 삶을 위해 _ACT 가치 명료화 “내가 원하는 삶이 뭔지 모르겠어요.”“어떤 선택이 나한테 맞는 건지 헷갈려요.”“하고 싶은 게 있는 것 같은데, 자꾸 미루게 돼요.”많은 사람들이 이런 말을 합니다. 이런 고민의 공통점은 하나! 방향이 없다는 게 아니라, 방향을 정해주는 기준이 흐릿하다는 것입니다.우리는 ACT를 통해 자신의 진짜 이야기를 찾는 여정중에 있는데요. 오늘은 진짜 중요한 것을 중심에 두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1. 삶은 목표보다 가치가 먼저입니다목표는 달성하면 끝납니다. 그런데도 가치를 재는 기준이 돈으로 단순화되면서 가치를 시간을 잃는 사색 정도로 미뤄두는 유혹을 받곤 합니다. 그러나 가치는 (목표와 달리) 반복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삶의 방향이죠. 예를 들어볼게요. 목표: “시험 1등 하기”가치: “배움.. 2025. 4. 19.
감정도 생각도 그게 ‘나’는 아니야 – ACT 자기인식 확장 “나는 우울한 사람이야.”“나는 원래 이런 성격이라 안 돼.”“나는 실패하는 사람이지.”이런 말들은 어쩌면 내가 나에게 붙인 꼬리표 아닐까요? 이런 류의 감정과 생각은 ‘지금의 경험’일 뿐, 당신이란 존재 전체를 말해주는 건 아닙니다. ACT 수용전념치료의 세번째 개념인 ‘Self-as-Context’, 자기 인식의 확장에 대해 이야기할 차례네요. 저도 교육에대한 애정을 사업화 시키는 과정에서 꽤난 생각들에 시달렸었는데, 자기인식 확장 기법의 도움을 많이 받았었습니다. 목표를 향해 혼자 걷고 계신 분들께 꼭 소개해드리고 싶었으니 얼른 시작해 보겠습니다. 1. “나는 감정이 아니다” – 자기인식 훈련의 시작 ACT는 이렇게 말합니다.“당신은 생각, 감정, 과거, 실패의 경험이 아닙니다.당신은 그것들을 .. 2025. 4. 18.
실패 불안에서 벗어나는 방법 – ACT 인지적 확산 ‘나는 안 될 거야.’‘어차피 실패할 거야.’‘다른 애들보다 못해.’이런 생각으로 몸도 마음도 얼어붙고 아무것도 하기 싫은가요?그건 생각일 뿐, 여러분에 대한 사실이 아닐 수 있어요. 감정 수용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말해봤던 지난 글에 이어 ACT(수용전념치료)는 '생각과 거리 두는 기술(Defusion)’을 가르쳐줍니다. 왜 생각이 원하는 것을 가로막는지 말이죠, 1. ‘나는 못 해’라는 생각은 왜 이렇게 강하게 느껴질까?우리가 반복적으로 떠올리는 생각은 진짜 현실처럼 느껴질 수 있다는 걸 알아채셨나요? 시험에서 한번 실패했을 때발표를 망쳤다고 느꼈을 때누군가와 비교하며 움츠러들 때이렇게 마음이 약해질 때의 경험은 뇌에 각인되기 쉬워서 이후 비슷한 상황에서도 “나는 못 해”라는 자동 생각(autom.. 2025. 4. 18.
감정을 없애려 할수록 더 힘들어지는 이유 – ACT 심리학 1단계 “이런 감정 느끼면 안 되지.”“이런 기분 가지고선 아무것도 못 해.”이런 생각, 익숙하지 않으세요?우리는 살아가며 수많은 감정을 느낍니다. 두려움, 긴장, 짜증, 무력감, 슬픔... 그리고 많은 경우, 이 감정들을 ‘없애야 할 것’, ‘숨겨야 할 것’으로 여깁니다. 하지만 심리학은 말합니다. 감정을 없애려 할수록, 그 감정은 더 커진다고요. 1. 감정 조절보다 먼저 해야 할 일: 감정 수용 감정은 ‘통제해야 할 대상’이 아닙니다. ACT(수용전념치료)는 감정을 통제하려는 대신, 있는 그대로 느끼고 수용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심리 기법입니다. 감정은 우리 안의 신호입니다. 그 신호를 무시하거나 끊으려 하면, 오히려 신호음은 더 커지고, 삶은 더 답답해집니다. 감정 수용의 의미“지금 이 감정이 있는 걸 안.. 2025. 4. 18.
ACT(수용전념치료)란? 불편한 감정이라도 없애려고 애쓰지 마세요.감정을 안고도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조절하려 하거나 없애려고 합니다. 불안, 두려움, 짜증, 우울 같은 감정을 제거하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거라고 믿기 때문이죠.하지만 현대 심리학은 오히려 그 반대의 길을 제시합니다. 감정을 억제하지 않고 수용하면서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살아가는 것, 이것이 바로 수용전념치료(ACT,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의 핵심입니다. 1. 수용전념치료(ACT)란? 수용전념치료는 199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제3세대 인지행동치료입니다. 그 목적은 단순한 증상 제거가 아닌,삶의 질 향상과 가치에 기반한 실천입니다. 이런 원리에서 ACT는 다.. 2025. 4. 18.
실행을 방해하는 세 가지 심리적 문제와 ACT 모델의 해결 전략 비전을 세우고,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 계획까지 준비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정작 그 다음 단계인 실행에서 멈추곤 합니다.이는 단순한 의지력 부족이나 태만의 문제가 아니라, 보다 깊은 차원에서 작동하는 무의식적인 심리 메커니즘 때문입니다. 상담 과정에서 만난 사례를 통해 실행을 막는 세 가지 대표적인 심리적 문제가 발견됐는데, 오늘은 이런 부적 강화기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되는 ACT 모델(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의 적용 방법까지 만나보겠습니다.1. 감정을 억누르려다 지친 사람들 – 감정 회피의 문제실행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은 불안, 두려움, 자기비판 등의 감정을 느끼고 이를 ‘없애야 할 것’으로 인식합니다. 그래서 감정을 억제하거나 무시하려 하지만, 이는.. 2025. 4. 18.